2025년 종합소득세 계산기 [ 사업소득자, 프리랜서, 임대소득자]

2025년 신고용 종합소득세를 미리 계산해보세요! 사업소득자, 프리랜서를 위한 최신 세율 적용 HTML 계산기를 무료로 제공합니다. 국세청 기준 정확한 소득세 계산 방법과 절세 팁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.

종합소득세 계산기


2025년 신고용 종합소득세 계산기

👉 이 계산기는 2024년 소득에 대한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시 참고용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👉 정확한 세액은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최종적으로는 세무사와 상담하세요.

▶ 소득 정보 입력

✓ 1년간의 총 수입금액을 입력하세요.

사업소득자: 매출 전표, 세금계산서 등의 합계 (부가세 포함 금액)

프리랜서: 원천징수영수증 상 지급금액의 합계

임대소득자: 연간 임대료 + 관리비 등 수입 합계

✓ 소득을 얻기 위해 지출한 비용의 합계를 입력하세요.

인정되는 경비: 재료비, 임차료, 직원급여, 광고비, 복리후생비, 감가상각비 등

사업용 신용카드 사용액, 세금계산서 수취분도 포함

단순경비율 적용자: 매출액 × (1-단순경비율)로 계산된 금액을 입력

▶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정보

✓ 인적공제: 기본공제(1인당 150만원), 추가공제(경로우대, 장애인 등)

✓ 국민연금 보험료 공제: 실제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 전액

✓ 기타 소득공제: 소기업·소상공인 공제부금, 주택마련저축 등

예시: 4인 가족(본인,배우자,자녀2) 기본공제 600만원 + 국민연금 50만원 = 650만원

✓ 자녀세액공제: 자녀 수에 따라 1명 15만원, 2명 30만원, 3명 이상 30만원+2명 초과 1명당 30만원

✓ 연금계좌세액공제: 퇴직연금, 개인형IRP, 연금저축 납입액의 12%(총급여 5,500만원 이하는 15%)

✓ 기타: 보험료, 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, 표준세액공제(13만원) 등

예시: 자녀세액공제 30만원 + 연금저축 36만원 + 보험료 12만원 + 신용카드 공제 42만원 = 120만원

✓ 원천징수된 소득세, 중간예납세액, 수시부과세액의 합계

사업소득자: 11월에 납부한 중간예납세액

프리랜서: 원천징수영수증의 '원천징수세액' 합계

임대소득자: 기 납부한 세액이 있다면 입력

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표

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
1,400만원 이하 6% -
1,400만원 초과 ~ 5,000만원 이하 15% 126만원
5,000만원 초과 ~ 8,800만원 이하 24% 576만원
8,800만원 초과 ~ 1억5천만원 이하 35% 1,544만원
1억5천만원 초과 ~ 3억원 이하 38% 1,994만원
3억원 초과 ~ 5억원 이하 40% 2,594만원
5억원 초과 ~ 10억원 이하 42% 3,594만원
10억원 초과 45% 6,594만원

⚠️ 주의사항

  • 본 계산기는 참고용으로, 실제 세금 계산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  • 소득 종류별(사업소득, 근로소득, 이자소득 등) 계산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.
  • 정확한 세금 계산을 위해서는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: 매년 5월 1일 ~ 5월 31일 (성실신고확인 대상자는 6월 30일)
  • 소득세 관련 자세한 정보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
다음 이전